吉
보고 듣고 느끼고/한자로 보는 세상이치 2005. 5. 26. 02:19 |吉이란 선비[士]와 입[口]가 결합된 모양이죠.
옛사람들은 선비가 끼니를 때울 수 있으면 吉하다고 생각한 모양입니다.
그만큼 청빈한 생활을 강조한 것인지...
아님, 순수하고 소박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렇다면 [大吉]이란 무엇을 뜻할까요???
선비가 생각할 때 일가족이 끼니를 때울 수 있으면
[大吉]이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
차떼기가 어떻고...
몇천억 편법증여가 어떻고...
옛 선조들은 무능해서, 끼니만 때울 수 있으면 吉하다고 생각한걸까요???
자족할 줄 아는 소박한 삶의 지혜를 입춘대길의 문구를 보며 다시 생각합니다.
옛사람들은 선비가 끼니를 때울 수 있으면 吉하다고 생각한 모양입니다.
그만큼 청빈한 생활을 강조한 것인지...
아님, 순수하고 소박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렇다면 [大吉]이란 무엇을 뜻할까요???
선비가 생각할 때 일가족이 끼니를 때울 수 있으면
[大吉]이 아니었을까 생각합니다.
차떼기가 어떻고...
몇천억 편법증여가 어떻고...
옛 선조들은 무능해서, 끼니만 때울 수 있으면 吉하다고 생각한걸까요???
자족할 줄 아는 소박한 삶의 지혜를 입춘대길의 문구를 보며 다시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