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
언뜻 거친 사나이들의 이야기인 듯 하지만, 시간이 흐를수록 인간적인 면으로 구도가 옮겨진다.

"씨팔~~" 이라는 표현 없이는 대사 전개가 안될만큼 폭력이 화면을 지배하는 영화 [부산].

영화는 유승호와 김영호, 두 인물을 축으로 하여 two track으로 진행되는데,
영화에 대한 수준이 높은 우리나라 관객들은 이미 두 사람의 교점이 무엇인지에 관심이 앞서 나간다.


[부산]은 내내 몰입하면서 본 영화다.  그렇게 전개가 됐다.
하지만, 영화를 다 보고난 후 반추해보면 텅빈 듯 아쉬운 부분이 많다.

뭔가 중요한 키를 갖고 있다고 느껴지게끔 비중있게 다뤄지던 배역이 어느 순간
아무 의미없이 사라지는 것도 그렇고, 전반적으로 산만한 느낌이 있다.
영화를 보다보면 '아~ 아까 그 장면이 이렇게 연결이 되는구나...' 하고 느껴지는 경우가 많은데,
이 영화는 스토리나 장면의 인과관계가 약하다.
처음이나 중간 몇 부분을 놓치더라도 이해에 지장이 없을 정도로 곁가지가 많다는거. 
영화 도입부의 여성들 납치 부분이라든지, 수시로 보여지는 폭력조직의 세력다툼은
영화의 스토리 전개에 큰 의미를 부여하지 못한다.  차라리 그 부분에 할당된 시간을 
영화의 두 측인 김영호와 유승호의 연결고리에 할애했으면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김영호, 고창석, 유승호는 이 영화의 주인공들이다.

김영호는 자기 역할을 충분히 했다고 생각한다.
대사나 액션이 단조롭다는 느낌은 있지만, 그게 감독이 설정한 캐릭터라면 배우를 탓할 수는 없다.
어쨌든 김영호는, 내면을 드러내지 않으려 과격하게 거친 행동을 보이는 보스의 역할을 잘 소화했다고 본다.

고창석은 일반에게 이름이 익숙한, 인지도가 있는 배우는 아니다.
그럼에도 나는 이 영화에서 가장 매력적인 연기를 보인 배우가 고창석이라고 생각한다. 
낳은 정이 없는 비정한 아버지와, 키운 정이 들은 아버지의 인간적인 복잡한 애증의 감정을 잘 표현하고 있다.

제작사가 내세운 [부산]의 마케팅 포인트는 유승호였다.
안그래도 앳띠고 귀여운 마스크에 청순한 미소로 국민 남동생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는 유승호인데다,
마침 TV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김춘추 역으로 주목을 받고있는터라, 유승호는 충분히 흥행의 키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 유승호는 영화의 중심인물로서 강한 인상을 주지는 못했다.
캐릭터의 설정여부를 떠나 대사처리능력이 아직은 미흡한 느낌이다. 
연령제한에 묶여 주인공이 자기 영화를 보지 못한다는 우스개 표현대로,
그가 아직 변성기를 겪는 청소년임을 감안하면 굳이 흠잡을 건덕지는 아니다.
 
 
부산의 야경을 배경으로 한 openning scene 은 마치 홍콩영화나 미국영화의 시작을 보는 듯 하다.
아울러 거친 남자들 세계의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함인지 화면의 색온도가 높다.
짙은 콘트라스트에 블루 톤을 기조로 하여 어두운 세계를 조명하려 한다.
내가 콘트라스트가 강한걸 좋아하기 때문인지 모르겠지만, 보기에 따라 매력있는 영상이다.


영화는 그저 오락과 레져문화의 한부분이라는 생각으로, 아무 생각없이 편안한 마음으로 영화를 즐기는 사람은,
'우리가 접하거나 상상하기 쉽지않은 세계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에게도 저런 인간적인 부분이 있구나..'
하는 뭉클함을 [부산]에서 느낄 수 있다.

반면에, 영화를 예술의 관점에서 논리적으로 대하는 사람에게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산만한 느낌과 함께 아쉬움이 남는 영화다.


부산을 배경으로 한 영화 [부산]은 엔딩에 이 영화의 숨어있는 제목을 보여준다.

[父山].  아버지는 산과 같다는 의미.

마음에 안들고 미흡한 부분이 있다 치더라도, 연출자가 보여주고픈 의도가 여기에 있었다면,
나는 이 영화를 인정하고 싶다.



사족 : 포스터에 보여진 다정한 모습의 세남자 장면은 이 영화에 없다.
         끝까지 세사람이 함께 못하고, 유승호가 모르는 부분이 남겨지기에 그 부분이 찡하다.

'보고 듣고 느끼고 > 영화겉핥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크릿  (4) 2009.12.08
백야행 (하얀 어둠 속을 걷다)  (4) 2009.12.05
불꽃처럼 나비처럼  (0) 2009.10.07
퍼블릭 에너미  (4) 2009.08.16
국가대표  (5) 2009.08.05
: